상담문의

학술지 논문

SCHOLARLY JOURNAL PAPER

드림셀파 학술지 논문

학술지 논문게재를 위한 절차 및 TIP을 알려드립니다.

학술지 논문은 주제선정, 연구설계, 자료수집(혹은 실험진행), 자료분석 및 해석, 논문교정, Minor revision, Major revision 등 모든 단계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논문지도 PROCESS

STEP 1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 선정한다.

STEP 2

저널에서 요구하는
양식을 확인하고,
논문을 그 양식에
맞춘다.

STEP 3

편집자가 다른
연구자에게 심사를
맡길지 아니면
거절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STEP 4

Peer review-관련된
분야의 다른 연구자
들이 심사를 한다.

STEP 5

Revision의 경우-
심사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또는
수정을 한다.

STEP 6

수정본 올리기

- 거절(Reject)
- 수정후 재심사(Major revision, Minor revision)
- 수정후 게재
- 게재(Accept)

·학술지 논문게재 TIP

요즘에는 거의 대부분의 학술지에서는 인터넷상에서 논문을 투고하고, 논문 게재여부를 이메일로 답변해줍니다.
저널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대개 1개월 이내에 답변을 하게 됩니다.
만약 투고자의 연구주제가 저널의 성격과 다를 때에는 편집자가 곧바로 답장을 주어서 다른 저널에 투고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이런 수고를 덜려면 미리 투고하고자 하는 저널에서 발행된 대표 논문들을 몇 개를 다운 받아서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자신의 연구와 비슷한지 아니면 전혀 다른지를 대략 확인이 가능합니다.

Peer review가 진행되어서 답변이 왔을 때, Minor revision의 경우 게재될 가능성이 높지만, Major revision의 경우 게재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습니다. 대개의 경우 2명 정도의 다른 연구자들이 Peer review를 하게 되는데, 심사자들이 모두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님을 유념해야 합니다.
즉, 매우 새로운 영역이나 고급통계기법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심사자들도 잘 이해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논문을 작성할 때 처음 Introduction부분과 Discussion부분에서 문외한이라 할지라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본인의 연구분야의 전체적인 윤곽과 함께 자신의 연구에서 핵심적인 중요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Revision의 경우에는 심사자들이 요구하는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고, 그렇지 못할 때에는 분명한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을 때에는 다시 revision의 답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